2025년을 맞아 금융·경제·복지 분야의 많은 정책들이 새롭게 시행돼요. 이 중에서 특히 눈에 띄는 정책 25가지를 골라서 정리했어요. 최저시급 인상부터 스트레스 DSR 3단계까지. 우리 일상에 큰 영향을 주는 정책의 변화를 하나씩 살펴볼까요?
많은 분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
1. 최저시급이 1만 원을 돌파했어요
2025년 최저임금이 지난해 시간당 9,860원에서 10,030원으로 1.7% 인상됐어요. 주 40시간 일했을 때 받는 월급은 209만 6,270원으로, 작년보다 35,530원 올랐어요. 최저시급이 1만 원을 넘은 건 제도 도입 이후 37년 만의 일이에요.
2. 실업급여도 함께 올랐어요
실업급여 하한액이 하루 8시간 일하는 근로자의 일급을 기준으로 64,192원으로 인상돼요. 한 달로 계산하면 192만 5,760원 받을 수 있어요.
3.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어요
3월부터 17세 이상 국민이라면 누구나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어요. 실물 주민등록증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, 행정복지센터(주민센터)에 방문하거나 정부24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돼요.
4. 문화비 소득공제가 헬스장과 수영장에도 적용돼요
7월부터 도서 구입, 공연 관람 등에 적용되던 문화비 소득공제가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에도 확대돼요.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소득자는 시설 이용료의 30%를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요. ‘체육시설법’에 따라 신고된 헬스장과 수영장 중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 참여에 신청한 업체에만 적용돼요.
5. 예금보호 한도가 상향돼요
예금보호 한도가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올라요. 내 돈을 맡긴 은행이 파산하더라도 최대 1억 원까지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어요. 1월 중에 예금자보호법 개정안이 공포된다면, 금융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올해 안으로 예금보호 한도가 상향될 예정이에요.
6. 국민내일배움카드 훈련비 지원이 늘어요
내일배움카드 계좌 한도 300만 원을 모두 소진했을 때 100만 원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었는데, 2025년부터는 200만 원을 추가로 지원받아 더 많은 훈련 기회를 보장받을 수 있어요.
'복지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부터 달라지는 정책 :금융.경제.복지 제도 25가지 3편 (1) | 2025.02.27 |
---|---|
2025년부터 달라지는 정책 :금융.경제.복지 제도 25가지 2편 (1) | 2025.02.26 |
월 최대 20만원 대학생 주거안정 장학금 (0) | 2025.02.25 |
정부가 전세대출 조이기에 나서요 (0) | 2025.02.20 |
[2025년 예산안] 소상공인을 위한 전주기 맞춤형 지원 (2) | 2024.12.10 |